운전하시는분이라면 꼭 주목하세요! 올 겨울 자동차 관리 방법
//자료출처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0133
강추위에도 안전하게! 겨울철 자동차 관리 방법
서울시대표소통포털 - 내 손안에 서울
mediahub.seoul.go.kr
https://allways.smotor.com/%EA%B2%A8%EC%9A%B8%EC%B2%A0-%EC%B0%A8%EB%9F%89%EA%B4%80%EB%A6%AC/
정비사가 알려주는 겨울철 차량 관리 꿀팁
추운 겨울 우리의 소중한 차를 안전하게 타기 위해서는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요? 겨울철 차량 관리에 대한 모든것! 쌍용자동차 구로 정비소에 직접 찾아가 질문해 보았습니다! 자동차의 눈 헤드
allways.smotor.com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723
[스마트 1분 상식]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관리 꿀팁 - 스마트경제
[스마트경제] 최근 기습적인 폭설과 전국적인 강추위로 인해 자동차 배터리 방전을 경험한 사람이 많았다. 실제로 폭설이 쏟아진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모 대형 손해보험사에는 콜센터로
www.dailysmart.co.kr
//부제목
//썸네일

//내용
1.헤드램프 - 결로 현상

헤드램프의 결로 현상은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습기가 원인입니다. 모든 램프는 내부에 열을 방출하는 통기 홀이 설치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결로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결로가 유지될 때에는 통기 홀 이외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수리를 통해 습기를 제거해야 합니다.
2.헤드램프 - 백화 현상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 온도는 사용 시 최대 200도까지 온도가 올라갑니다. 고온에 노출된 플라스틱에서는 ‘분자량 유기화합물’이 기화해 가스가 발생되고, 이 가스가 헤드램프의 벽면에 흡착되는 현상을 백화 현상 또는 헤이즈(HAZE)라고 부릅니다.
헤드램프의 백화현상은 전방의 길을 밝혀주는 기능을 저하시켜 운전자는 물론 다른 운전자까지 위험에 처할 수 있으므로 미관상 이유가 아니더라도 평소에 관리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백화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자외선과 산성비이므로, 햇빛이 강한 날 장시간 주차시에는 지하 주차장을 이용하고, 미세먼지나 황사가 심한 날 비가 올 때 주행 후에는 마른 수건으로 헤드램프를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3. 차량관리 - 배터리

배터리는 자동차 엔진 시동 시 시동 전동기, 점화 계통에 전기적 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차량의 전기 장치인 램프, 오디오, 히터 등에 전류를 공급하는데, 배터리가 방전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추운 날씨, 교환 주기 경과, 블랙박스 상시 녹화, 장기 주차, 발전기 불량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방전이 발생하는데,
그 중에서도 배터리는 기온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온도가 내려갈수록 엔진을 돌려야 하는 힘은 더 필요한데 배터리의 출력은 떨어지기 때문이며, 날씨가 추워지면 배터리 방전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이유입니다.
장기 주차 차량은 지하 주차장 등 실내에 주차를 하거나 최소 1주일에 1번은 시동을 걸어주고 블랙박스 장착 차량은 블랙박스 주차 모드 사용, 저전압 보호 값 12.0~12.2V 설정 등이 필요합니다.
4. 차량관리 - 타이어 점검

타이어 공기압 점검
타이어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낮은 기온에서 공기압이 저하되는데, 특히 겨울에는 지면과 타이어 사이의 마찰력이 약해져서 안전한 주행이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타이어의 공기압은 또한 승차감과 연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정량과 공기압을 유지해야 합니다.
마모도 점검
타이어의 마모가 심할 경우 타이어의 성능과 제동력 저하되어 본래의 성능을 발휘할 수가 없습니다. 타이어의 홈은 접지력 및 마찰력을 유지해주며 배수성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게되는데, 그래서 타이어의 마모도를 체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마모도 체크 방법은 타이어 홈 중간에 살짝 튀어나와있는 부분이 있는데, 그 부분을 마모한계선 이라 부릅니다. 마모한 계선이 타이어 바닥 부분 과 닿아 있다면 교체 시기가 되었다고 보면 됩니다.

먼저 타이어 마모한계선 위치표시를 확인하고, 마모한계선이 드러날 만큼 타이어가 닳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100원 동전으로 타이어 트레드가 이순신 장군 감투까지 완전히 가려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두 방법 모두 어려운 방법은 아니지만, 타이어마다 트레드 깊이와 모양이 조금씩은 다르기 때문에 타이어 마모한계선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이 더 정확한 방법입니다.
마모도를 확인했다면, 공기압도 체크

타이어 마모도 체크와 더불어 타이어 관리에 가장 중요한 것은 타이어 공기압 확인입니다. 겨울철에는 기체 특성상 같은 양의 공기가 들어 있더라도 공기압이 적게 나타납니다.
타이어 공기압이 낮을 경우, 타이어가 지면에 닿는 면적이 오목하게 변해 코너를 돌거나 제동할 때 평소보다 더 많이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고속으로 주행할 때 타이어 접지면 뒷부분이 물결치는 듯한 모양을 나타내는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 발생해 타이어 파손 우려도 있습니다.